사는 이야기/건강한 이야기

챗지피티야~ 도와줘.

Beyond Myself 2025. 11. 18. 09:32

아! 추워.

너무 춥다. 

어제보다 4.2도가 더 낮아진 날씨에 잠자리에서 쉽게 벗어나지를 못한다.

쏟아진 졸음과 빼먹은 약.

식단을 하고 있다.

시작은 어제부터다.

1일 차..

속이 가볍다.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있어서 약을 받아왔다.

저녁에 먹는 한알이다.

 

 쏟아진 졸음에 챙겨 먹지 못하고 잠을 잤다.

아침에 챙겨 먹어야 할 약을 보다 어제 안 먹고 잔 것을 알았다.

그런데 속이 쓰리고, 답답하지가 않다.

 

이상하다.

커피 커피 커피.

커피를 좋아했다.

그것도 믹스커피.

동서고금, 나에겐 노랑이 믹스커피가 최고의 커피였다.

입안에 감기는 믹스 커피의 달콤함은 아직도 최고의 커피다.

 

어느 날, 생활습관이 안 좋았는지

혈압도 높아지고 올라간 혈압은 내려올 줄 몰랐고, LDL과 중성지방이 높아졌다.

 

나는 인간의 몸에 들어가는 건 수 있는 건 

단순하게

입으로 먹는 음식과

코로 마시는 공기라 생각한다.

 

결국 이러한 결과는

먹는 음식이 주 문제라 생각했다.

 

믹스커피를 끊었다.

커피를 안 마셔 본 적도 있다.

지금은 더치커피를 마신다.

직장에선 노 카페인커피를 즐겨 마신다.

바뀐 식단에 몸은 언제 적응하는 걸까?

다이어트에서

항상성은 양날의 검이라고 생각한다.

 

젊을 땐 음식을 더 먹어도 체중은 유지되고,

체중이 빠지면 항상성 때문인지 유지하기 위해 몸이 칼로리를 요구했었다.

 

지금, 중년의 나이의 나는

젊을 시절만큼의 활동량이 아니라서 평균체중이 많이 올라가 있고,

항상성에 맞춰진 평균체중이 좀처럼 내려오려고 하지 않는다.

 

그럼 다이어트를 할 때  요요가 오는 증상 또한 항상성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챗지피티에게 물어봐.

궁금한 게 생겨서 챗지피티에게 물었다. 

바뀐 식단은 언제까지 유지돼야 몸이 적응을 하는지를.

 

식단 변화 시 신체 적응 단계

섬유질, 지방, 단백질 비율이 달라지면서

장내 미생물과 소화 효소는 약 1~3주

 

칼로리와 탄수화물 비율이 변해 

인슐린 민감도, 글리코겐 저장이 재조정되는데 2~4주

 

렙틴, 그렐린 등 식욕 포만감 호르몬은

새 식단 조건에 안정화까지 2~8주

 

체중 변화 초기 페이스는 

첫 1~2주는 수분 변화가 크고, 그 이후가 실제 체지방 변동의 안정기  

를 갖는다고 한다.

 

레퍼런스들이 줄줄이 있는 과학적 근거가 있다고 하니

이 말을 토대로 최소한 1~2주는 식단을 유지하고 2주 이후부터는 실제적인

체중변화를 느낄 수 있다고 하니. 초기 1~2주를 잘 버텨야 될 거 같다.

 

굶으면 대사가 떨어져서 더 살이 붙는 구조.

굶지 않도록 식단을 잘 짜는 게 중요한 거 같다.

 

"공감 버튼과 구독은 글 쓰는데 큰 힘이 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